김대성은 머리가 크고 이마가 평평하여 성과 같이 생겼다고 해서 이름을 '대성(大城)'이라 지었다. 홀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그는 너무 가난하여 마을의 부자집에서 머슴살이를 하고 있는데, 열심히 일한 그는 초가삼간과 밭을 조금 마련할 수 있었다. 어느날 점개라는 스님이 그가 머슴살이하는 집에 찾아와서 주인에게 보시하기를 청하면서 '신도가 보시를 하면 천신이 항상 보호하여 하나를 보시하면 만 배를 얻게 되고 안락과 장수를 누리게 될 것'이라고 축원하는 소리를 들었다.
이 말을 들은 대성이 어머니에게 말씀드리기를 '우리가 과거에 좋은 일을 해 놓은 것이 엇어 이같이 곤궁하니 지금 보시를 하지 않으면 내세에 더 가난해질 것입니다'하여 그동안 애써서 장만해 둔 밭을 흥륜사 법회에 보시하기로 하였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대성이 죽었다. 대성이 죽은 그날 밤 재상 김문량의 집에 이상한 일이 생겼다. '모량리의 대성이라는 아이가 너의 집에 환생하리라'하는 소리가 지붕위에서 들려왔다. 그리곤 김문량의 아내가 임신을 하여 아이를 낳았는데 아이가 왼손을 꼭 쥐고 펴지 않다가 7일만에야 손을 폈다. 그 손바닥 안에 '대성'이라는 두 글자가 새겨진 쇠붙이가 있어서, 아이 이름을 그대로 대성이라 하고, 모량리에 사는 전생의 가난한 어머니도 김문량의 집에 모셔와 편안히 살게 하였다.
부잣집 아들로 다시 태어난 대성이 장성하여 하루는 토함산에 올라 곰을 잡았다. 꿈에 곰이 귀신으로 변해 원망하며 말하기를 '네가 나를 어째 죽였더냐"하며 으릉렁댔다. 두려움에 대성이 용서를 빌자 그 곰은 자신을 위해 절을 하나 지어달라 하였다.
잠에서 깬 대성은 크게 반성하고 이후 사냥을 그만두고 곰을 잡았던 자리에 장수사를 지어주고, 이 일로 인하여 사람으로 살면서 영(靈)에 등한하였음을 깨달은 대성은 현세의 부모인 김문량 부부를 위하여 불국사를 세우고, 전생의 부모인 모량리 어머리를 위해서는 석불사 곧, 석굴암을 세웠다 한다.
'어쩌다 reading > 책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푼쩰 (0) | 2010.01.25 |
---|---|
무영탑의 전설, 아사달과 아사녀 (0) | 2010.01.04 |
미실 (0) | 2009.12.31 |
무라카미 하루끼의 '1Q84' (0) | 2009.10.04 |
피츠버그의 마지막 여름 (0) | 2009.07.22 |